바이셰시카 학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셰시카 학파는 '특수' 또는 '구별'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된 인도 철학 학파로, 세계를 여섯 가지 범주로 설명한다. 이 학파는 동아시아에서 '승론'으로 불렸으며, 『승종십구의론』을 통해 사상이 전해졌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지각과 추론을 유효한 지식의 수단으로 간주하며, 여섯 가지 범주(실체, 속성, 활동, 일반성, 특수성, 내재성)로 모든 존재를 분류한다. 이 학파의 원자론은 흙, 물, 불, 공기의 사대 원소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극미체로 구성된다고 보며, 서양 철학의 개념과 비교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자주의 - 니야야 학파
니야야 학파는 고대 인도에서 논리학 연구를 체계화하고 발전시킨 힌두 철학 학파로, 합리적 탐구와 지식 추구를 통해 영적인 질문에 접근하며 인식론과 논리학 체계에 대한 연구로 다른 인도 학파에 영향을 주었다. - 원자주의 - 클리나멘
클리나멘은 고대 철학에서 원자의 예측 불가능한 빗나감을 의미하며, 현대에는 경향이나 편향을 뜻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힌두 철학 - 요가
요가는 몸과 마음을 통제하여 구원론적 목표를 달성하는 기술로, 기원전 3300-1700년경 인더스 문명에서 시작되어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와 철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는 요가를 마음의 동요를 진정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 힌두 철학 - 요가 학파
요가 학파는 기원전 1천년기 금욕적인 환경에서 발전한 힌두교 철학 학파로,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체계화되어 상키아 철학과 유사하지만 신의 개념을 수용하며, 윤리적 규칙을 강조하고 무지를 제거하여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고대 인도 철학 학파 - 요가 학파
요가 학파는 기원전 1천년기 금욕적인 환경에서 발전한 힌두교 철학 학파로, 파탄잘리의 요가 수트라에 체계화되어 상키아 철학과 유사하지만 신의 개념을 수용하며, 윤리적 규칙을 강조하고 무지를 제거하여 해탈에 이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고대 인도 철학 학파 - 베단타 학파
베단타 학파는 우파니샤드를 중요시하며 브라만과 아트만의 궁극적 동일성을 설하는 인도 철학의 한 학파로, 우파니샤드, 바가바드 기타, 브라마 수트라를 주요 경전으로 삼아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며 여러 학파로 나뉜다.
| 바이셰시카 학파 |
|---|
2. 명칭
바이셰시카(Vaiśeṣika)는 '특수' 또는 '구별'을 뜻하는 '비셰사(viśeṣa)'에서 유래했다. 이 학파는 세계 즉 현상계를 실체(實, dravya) '''·''' 성질(德, guṇa) '''·''' 운동(業, karma) '''·''' 보편(同, sāmānya) '''·''' 특수(異, viśeṣa) '''·''' 결합(和合, samavāya)의 여섯 가지 원리 또는 범주[六句義]로 구별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바이셰시카(Vaiśeṣika)라는 말을 '뛰어나다'는 뜻의 수승(殊勝)으로 이해하여 '''승론(勝論)'''이라고 부른다.[49]
바이셰시카 학파는 기원 전후 시기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카나다가 저술한 바이셰시카 수트라는 이 학파의 가장 초기 문헌이다.[11]
3. 역사
동아시아에서는 '승론'이나 '승종'으로 불렸으며, 『대비바사론』등을 통해 알려졌다.[42] 6-7세기 경 혜월의 저술과 현장이 번역한 것으로 알려진 『'''승종십구의론'''』을 통해 전해졌다.[43] 『승종십구의론』은 바이셰시카 학파 개요서의 한역본이지만, 산스크리트어 원전과 티베트어 번역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43] 이 책은 10종의 범주를 다루며, 불교 논서는 아니지만 대장경에 수록되었다.[43][44]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연구가 활발했으며, 여러 주석서가 저술되었다.[44] 진언종 풍산파의 법주와 쾌도가 주요 주석가이다.[45] 이들은 상키아 학파의 『금칠십론』도 연구했다.[45]
1917년 우이 하쿠주에 의해 영어 번역본이 만들어졌다.[46]
3. 1. 주요 문헌
Vaiśeṣika Sūtrasa는 Kaṇādasa가 저술한 바이셰시카 학파의 가장 초기 문헌이다. 카나다는 중국 불교 주석가 Ci-tsan에 의해 울루카로도 불린다.[11] 이 논문은 10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바이셰시카 수트라sa에 대한 주석서인 라바나바샤sa와 바라드바자브리티sa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Praśastapādasa의 Padārthadharmasaṃgrahasa(4세기경)는 이 학파의 중요한 저작 중 하나이다. 흔히 바이셰시카 수트라sa의 주석서(바샤)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독립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다샤파다르타샤스트라sa (648)는 프라샤스타파다sa의 논문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 중국어 번역본만 남아있다.
프라샤스타파다sa의 논문에 대한 현존하는 주석서로는 비오마시바sa의 비오마바티sa (8세기), 슈리다라sa의 냐야칸달리sa (991), 우다야나의 키라나발리sa (10세기), 슈리바차sa의 릴라바티sa (11세기)가 있다.
시바디티야sa의 사프타파다르티sa는 냐야sa 학파와 바이셰시카sa 학파의 원리를 통합하여 제시한다. 샹카라 미슈라sa의 바이셰시카 수트라sa에 대한 우파스카라sa도 중요한 저작이다.[12]
4. 인식론
바이셰시카 학파는 지각과 추론, 두 가지 인식 수단을 인정한다. 이는 냐야 학파가 지각, 추론, 유비, 권위의 네 가지 인식 수단을 인정하는 것과 구별된다.
4. 1. 인식 수단
바이셰시카 학파는 정확한 지식과 진실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여섯 가지 프라마나(pramāṇa, 인식 수단)를 제시했지만,[13] 이 중 지각(pratyakṣa)과 추론(anumāna)만을 신뢰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간주했다.[16]- 지각(Pratyakṣa, प्रत्यक्ष): 감각 기관을 통해 대상을 직접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 지각과 내부 지각으로 나뉜다.
- 외부 지각: 다섯 가지 감각 기관이 대상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한다.
- 내부 지각: 마음이라는 내적 감각을 통해 일어나는 지각이다.
- 올바른 지각을 위한 네 가지 조건:[20]
- Indriyarthasannikarsa (감각 기관과 대상의 직접적인 경험)
- Avyapadesya (비언어적)
- Avyabhicara (방황하지 않음)
- Vyavasayatmaka (확실한)
- 일부 학자들은 직관(pratibha)과 같은 '특이한 지각'을 내부 지각으로 제안하기도 했지만, 다른 학자들은 이에 반박했다.[21]
- 추론(Anumāna, अनुमान): 하나 이상의 관찰과 이전에 참이라고 밝혀진 사실을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23] 예를 들어 연기를 보고 불을 추론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18]
- 추론의 방법:[25]
- pratijna (가설): sadhya(증명하거나 반증해야 할 아이디어)와 paksha(sadhya가 예측되는 대상)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 hetu (이유)
- drshtanta (예시)
- 추론은 증거로서 긍정적인 예(sapaksha)가 존재하고 반증으로서 부정적인 예(vipaksha)가 없을 때 조건부로 참이 된다.
- 조건부로 증명된 가설은 결론(nigamana)이라고 한다.[27]
바이셰시카 학파의 삼단논법은 니야야 학파의 삼단논법과 유사하지만, 프라샤스타파다가 삼단논법의 구성 요소에 부여한 이름은 다르다.[28]
5. 형이상학
바이셰시카 학파는 자이나교의 영향을 받아 실재론적인 경향이 강하며, 브라만교의 신학적 요소보다도 자연철학적인 색채가 짙다.[49] 이들은 모든 사물을 실체와 속성으로 나누고, 이를 실체, 성질, 운동, 보편, 특수, 결합의 6개 원리 또는 범주(句義)로 설명하였다.[49]
실체로는 자연, 생물 등 우주의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인 흙, 물, 불, 공기, 아카사(공, 허공, 에테르), 시간, 공간, 아트만(我), 마나스(意)의 아홉 가지가 있다.[49]
바이셰시카 학파는 경험하는 모든 것은 ''드라비야(dravya)''(물질: 원자, 그 수, 그리고 그들의 공간적 배열의 기능), ''구나(guna)''(성질), ''카르마(karma)''(활동), ''사마냐(samanya)''(공통성), ''비셰샤(vishesha)''(특수성) 및 ''사마바야(samavaya)''(내재성, 모든 것의 분리할 수 없는 연결)에서 파생된다고 보았다.[5][9]
5. 1. 여섯 가지 범주 (육구의)
바이셰시카 학파는 세계를 여섯 가지 범주, 즉 육구의(六句義)로 설명한다. 이 학파의 이름은 '특수' 또는 '구별'을 의미하는 '비셰사(viśeṣa)'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세계를 실체(實, dravya), 성질(德, guṇa), 운동(業, karma), 보편(同, sāmānya), 특수(異, viśeṣa), 결합(和合, samavāya)의 여섯 가지 원리로 구별하여 설명하기 때문이다.[49] 중국에서는 바이셰시카를 '수승(殊勝)', 즉 '뛰어나다'는 뜻으로 이해하여 '승론(勝論)'이라고도 불렀다.여섯 가지 범주는 다음과 같다.
- 실체(Dravya): 물질적, 정신적 실재를 구성하는 요소로, 흙(地), 물(水), 불(火), 공기(風), 아카사(空, 허공), 시간, 공간, 아트만(自我), 마나스(意, 마음)의 아홉 가지가 있다.[49]
- 성질(Guṇa): 실체에 내재하는 속성으로, 색깔, 맛, 냄새, 촉감 등 24가지가 있다.[31]
- 운동(Karma): 실체의 움직임으로, 상승, 하강, 수축, 신장, 진행의 다섯 가지가 있다.[32]
- 보편(Sāmānya): 개별자들 사이의 공통적인 속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여러 소들이 '소'라는 공통된 속성을 갖는 것이다.
- 특수(Viśeṣa): 개별자를 구별하는 고유한 속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가 말과 구별되는 것은 '소'라는 특수한 속성을 갖기 때문이다.
- 결합(Samavāya): 실체와 성질, 부분과 전체 등 불가분한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과 천은 결합의 관계에 있다.[35]
이후 바이셰시카 학자들은 'abhava''(비존재)라는 범주를 하나 더 추가했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자이나교의 영향을 받아 실재론적인 경향이 강하며, 브라만교의 신학적 요소보다는 자연철학적인 색채가 짙다.[49] 이들은 우주와 인생을 물질과 정신의 2원적 대립이 아닌, 다원적인 관점에서 원소(즉, 실체)와 속성(즉, 성질, 운동, 보편, 특수) 그리고 관계(즉, 결합)의 측면으로 설명하였다.[49]
5. 2. 아홉 가지 실체
자이나교의 영향을 받아 실재론적인 경향이 강하며 브라만교의 신학적 요소보다도 자연철학적인 색채가 짙은 바이셰시카 학파는, 우주의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인 아홉 가지 실체를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49]# 흙(地)
# 물(水)
# 불(火)
# 공기(空氣)
# 아카사(空)
# 시간(時間)
# 공간(空間)
# 아트만(自我)
# 마나스(意)
흙, 물, 불, 공기는 각각 향기, 맛, 색깔, 촉감이라는 본래의 성질을 가지고 화합 또는 결합한다.[49] 이 성질들은 극히 미세하여 감각할 수 없으며, 감각의 대상이 되는 것은 그것들이 복합된 결과이다.[49]
흙, 물, 불, 공기의 4원소는 아주 작은 극미체(極微體)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주 창조 이전에는 이들 4원소와 아트만 사이에 화합 또는 결합이 없었다.[49] 그러나 아트만에 잠재된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이 불가견력(不可見力)으로 작용하면 우주 창조가 시작된다.[49] 창조된 세계는 일정 기간 지속된 후 아트만의 불가견력에 의해 4원소가 분리되어 다시 극미체로 해체, 분산된다.[49]
바이셰시카 학파에서 말하는 아홉 가지 실체는 다음과 같다.
| 한글 번역어 | 산스크리트어 | 영어 번역어 |
|---|---|---|
| 흙(地) | 프르트비(Pṛthvī) | Earth |
| 물(水) | 아프(Ap) | Water |
| 불(火) | 테자스(Tejas) | Fire |
| 공기(空氣) | 바유(Vāyu) | Air |
| 아카사(空) | 아카사(Ākāśa) | Akasha, Ether, Aether, Æther |
| 시간(時間) | 칼라(Kāla) | Time |
| 공간(空間) | 디크(Dik) | Space |
| 아트만(自我) | 아트만(Ātman) | Self, Soul |
| 마나스(意) | 마나스(Manas) | Mind |
5. 3. 원자론
바이셰시카 학파는 자이나교의 영향을 받아 실재론적인 경향이 강하며, 브라만교의 신학적 요소보다는 자연철학적인 색채가 짙다.[49] 이들은 우주 만물을 구성하는 요소로 흙, 물, 불, 공기의 네 가지 원소를 제시한다.[49] 이들 원소는 인(因) 상태에서 원체(元體), 즉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미세 입자인 미진(微塵)으로 존재하며 불변하다.[49]흙에는 향기, 물에는 맛, 불에는 색깔, 공기에는 촉감이 본래 성질로서 화합 또는 결합한다.[49] 이러한 미진, 즉 극미체(極微體)는 너무 미세하여 감각할 수 없으며, 우리가 감각하는 대상은 그것들이 복합되어 나타난 결과일 뿐이다.[49]
흙, 물, 불, 공기의 4원소의 극미체(極微體)는 우주 창조 이전에는 화합이나 결합이 없었고, 아트만과 극미체의 화합 또는 결합도 없었다.[49] 그러나 아트만에 잠재된 선업(善業)과 악업(惡業)이 불가견력(不可見力)으로 작용하면 우주 창조가 시작된다.[49] 창조된 세계는 일정 기간 지속된 후 아트만의 불가견력에 의해 4원소가 분리되어 다시 극미체로 해체
극미체(極微體)는 파라마누(Paramāṇu)라고도 불리며, 원자(原子)에 해당한다.[36] 각각의 복수형은 파라마누스(Paramāṇus), 원자들(Atoms)이다. 바이셰시카 학파에 따르면, 파라마누(원자)는 파괴 불가능한 물질 입자이며, 측정을 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분할 불가능하다.[36] 이들은 불변성 논증을 사용하여 원자의 속성을 결정했으며, ''아누''는 절대 정지 상태와 운동 상태의 두 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고 보았다.[36]
바이셰시카 학파는 네 가지 종류의 원자를 가정했는데, 질량이 있는 두 종류와 질량이 없는 두 종류가 그것이다.[3] 각 물질은 네 종류의 원자 모두로 구성된다고 여겨진다. 원자는 감지할 수 있는 종류의 물체로 뭉쳐지기 전에 트랴누카(삼원자)와 드비아누카(이원자)로 결합될 수 있다.[37] [38] 각 파라마나(원자)는 고유한 비셰샤(개별성)를 가진다.[39] 부분 없는 원자의 크기는 ''파리만달라 파리마나''로 알려져 있으며, 영원하고 다른 물질의 크기를 생성할 수 없다. 그 크기는 절대적으로 자체적이다.[40]
6. 동서양 철학과의 비교
바이셰시카 학파의 사상은 "자연 철학", "원자론", "실체", "보편과 특수"와 같은 서양 철학의 개념들과 비교될 수 있다.[35]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유사한 점이 있다는 점에서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힌두교의 냐야 철학과 유사하여 함께 연구되기도 하지만, 인식론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인다. 냐야 학파가 유효한 지식의 네 가지 출처를 인정한 반면, 바이셰시카 학파는 지각과 추론 두 가지만을 인정했다.[17][14]
한국의 전통 철학, 특히 불교의 유식학(唯識學)과 비교하여 마나스(Manas)와 아트만(Ātman)에 대한 관점 차이를 논의할 수도 있다. 바이셰시카 학파에서는 아홉 가지 실체 중 하나로 ''manas''(마음)와 ''ātman''(자아 또는 영혼)을 제시하고 있다.[30]
7. 현대적 의의
바이셰시카 학파의 원자론은 현대 과학의 물질관과 비교될 수 있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물질이 파괴할 수 없고 분할할 수 없는 '파라마누(paramāṇu)'라는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는데, 이는 현대 과학의 원자 개념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4] 이 학파는 또한 물질과 정신의 관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바이셰시카 학파는 세계를 경험하는 모든 대상을 여섯 가지 범주, 즉 *드라비야(dravya, 실체), *구나(guna, 속성), *카르마(karma, 활동), *사마냐(samanya, 일반성), *비셰샤(vishesha, 특수성), *사마바야(samavaya, 내재성)로 분류했다.[29] 이후 *아바바(abhava, 비존재)라는 범주가 추가되었다.[29] 이러한 범주를 통한 세계 인식 방식은 현대 철학의 존재론, 인식론 논의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 특히, 인식론에서는 지식에 대한 신뢰할 만한 두 가지 수단으로 지각과 추론만을 받아들였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17]
참조
[1]
논문
Nyāya-vaiśeṣika Philosophy, The Oxford Handbook of World Philosophy
2011
[2]
서적
Naturalistic Tradition in Indian Thought
1996
[3]
서적
Matter and Mind: The Vaisheshika Sutra of Kanada
Mount Meru Publishing
2016
[4]
웹사이트
Analytical philosophy in early modern India
http://plato.stanfor[...]
2019-03-18
[5]
서적
Key Concepts in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1999
[6]
서적
Key Concepts in Eastern Philosophy
Routledge
1999
[7]
서적
The Self: Naturalism, Consciousness, and the First-Person St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
서적
Classical Vaisesika in Indian Philosophy
Routledge
2013
[9]
서적
Outlines of Indian Philosophy
Motilal Banarsidass
1993
[10]
웹사이트
Shad Darshan Samucchaya, by Acharya Haribhadra Suri
https://archive.org/[...]
[11]
서적
The Vaiśeṣika Philosophy According to the Daśapadārthaśāstra
Royal Asiatic Society
1917
[12]
문서
2006
[13]
논문
Pramāṇa epistemology: Some recent developments, in Asian philosophy - Volume 7
Springer
1993
[14]
서적
Philosophy of Religion : Indian Philosophy Vol 4
Routledge
[15]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Indian Philosophy: Sanskrit Terms Defined in Englis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6]
서적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문서
1986
[18]
서적
Spirituality and Indian Psychology
Springer
2011
[19]
논문
The Epistemology of the Carvaka Philosophy
1998
[20]
서적
Perception: An Essay in Indian Theories of Knowledg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1]
서적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1977
[22]
서적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1977
[23]
서적
Meaning and Truth, in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Volume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Reprinted in 1995 by Motilal Banarsidass
1977
[24]
서적
Tradition and Reflec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
[25]
문서
Carvaka school is the exception
[26]
서적
Anumana i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27]
서적
Presuppositions of India's Philosophies
Motilal Banarsidass
2002
[28]
서적
Indian Wisdom - Religious, Philosophical and Ethical Doctrines of the Hindus
Luzac & Co, London
1893
[29]
문서
2006
[30]
문서
2006
[31]
문서
1986
[32]
문서
2006
[33]
문서
2006
[34]
문서
2006
[35]
문서
2006
[36]
문서
2006
[36]
웹사이트
Space, Time and Anu in Vaisheshika
http://www.ece.lsu.e[...]
Louisiana State University, Baton Rouge, USA
2013-05-29
[37]
Citation
Ancient Atomism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3-10-06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웹사이트
六派哲学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0-08-23
[42]
Citation
インド哲学思想と密教 - 序説
https://chisan.or.jp[...]
智山伝法院
[43]
Cite journal
井上円了の『外道哲学』
http://id.nii.ac.jp/[...]
[44]
코토뱅크
勝宗十句義論
小学館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45]
Citation
基師の数論と『金七十論』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46]
Citation
"<書評・紹介> 金倉円照 : インドの自然哲学"
http://id.nii.ac.jp/[...]
大谷大学佛教学会
[47]
Citation
ニヤーヤ・ヴァイシェーシカ学派の実在論的展開
https://hdl.handle.n[...]
大阪大学文学部
[48]
Citation
普遍の觀念を手がかりとするヴァイシェーシカ體系の考察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49]
문서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힌 두 교 > 힌두교 > 힌두교 전사(前史) > 바이셰시카 학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0]
문서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바이셰시카 학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네이버 백과사전
구실(九實)
http://100.naver.com[...]
네이버 백과사전
2011-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